맨위로가기

중화 양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 양씨는 고려 고종 때 정승을 지낸 양포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당악군에 봉해진 양포의 후손들이 중화를 관향으로 삼았으며, 시조의 묘소는 평안남도 중화군에 있다. 고려 시대에는 양동무, 양원격, 양희지 등이 주요 인물로 활동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양백지의 후손들이 평양을 중심으로 세거했다. 중화 양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무과, 사마시에 많은 급제자를 배출했으며, 독립운동가 양우조, 대한제지 회장 양승학 등 근현대 인물도 있다. 2015년에는 7,287명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 양씨 - 양명문
    양명문은 평안남도 평양 출신의 시인이자 교육자로, 시집 『화수원』으로 등단하여 〈명태〉 등의 시를 발표하고 여러 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격동의 시대상을 반영한 작품들을 남겨 한국 문학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중화 양씨 - 양우조
    양우조는 평안남도 출신으로 흥사단 가입, 한국독립당 활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광복군 근무 등 독립운동에 헌신하고 광복 후에는 방직 산업계에서 활동하며 사회 활동에도 참여한 독립운동가이자 실업가로,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 및 9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어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중화 양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중화 양씨
中和楊氏
관향평안남도 중화군
나라한국
년도2015
인구7,287명
역사
시조양포 (楊浦)
집성촌평양시
인물
주요 인물양동무, 양원격, 양백지, 양희지, 양덕록, 양우조, 양승학, 양창영, 양인집, 양상문, 양인오

2. 역사

중화 양씨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관직을 역임하며 가문을 이어왔다. 시조 양포는 고려 고종 때 정승을 지냈고, 그의 후손들은 이부상서, 문하시중, 평장사, 판사, 직제학, 대사간, 한성부우윤, 서경천호 등의 관직을 거쳤다.[1][2] 특히, 양백지의 7대손 양덕록은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의병을 일으켜 평양 수복과 군량 조달에 큰 공을 세웠다.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고려 고종 때 정승(政丞)을 지낸 시조 양포(楊浦)는 나라에 공을 세워 당악군(唐岳君)에 봉해졌다. 당악은 중화의 옛 이름으로, 후손들이 중화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시조의 묘소는 평안남도 중화군 정면 양지리에 있다.

양포의 장자인 양동무(楊東茂)는 간의대부로 이부상서에 올랐으며 1270년(고려 원종 11년)에 삼별초 진압에 공을 세웠다.[1] 동생 양경무는 문하시중을, 양견무는 평장사를 역임했다.

5세손 양원격(楊元格)은 고려조에 판사(判事)를 역임하였고, 양원격의 증손자 양희지(楊熙止)가 1474년(성종 5) 문과에 급제하여 직제학, 대사간, 한성부우윤을 역임했다.

6세손 양백지(楊百之)는 고려 말에 서경천호(西京千戶)를 지냈다.[2] 양백지가 평양에 자리잡은 이래 그 후손이 주로 평양을 중심으로 세거하였다. 양백지의 7대손 양덕록은 선조와 인조 때 학자로서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종질 양의직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평양 수복과 군량 조달에 공을 세웠다.

2. 2. 고려시대

고려 고종 때 시조 양포(楊浦)가 정승(政丞)을 지냈으며 나라에 공을 세워 당악군(唐岳君)에 봉해졌다. 당악은 중화의 옛 이름으로 후손들이 중화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시조의 묘소는 평안남도 중화군 정면 양지리에 있다.

양포의 장자 양동무(楊東茂)는 간의대부로 이부상서에 올랐으며 1270년(고려 원종 11년)에 삼별초의 난을 진압하였다.[1] 동생 양경무는 문하시중, 양견무는 평장사를 역임했다.

5세손 양원격(楊元格)은 고려조에 판사(判事)를 역임하였고, 양원격의 증손자 양희지(楊熙止)는 1474년(조선 성종 5) 문과에 급제하여 직제학, 대사간, 한성부우윤을 역임했다.

6세손 양백지(楊百之)는 고려 말에 서경천호(西京千戶)를 지냈다.[2] 양백지가 평양에 자리잡은 이래 그 후손이 주로 평양을 중심으로 세거하였다. 양백지의 7대손 양덕록은 선조와 인조 때 학자로서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종질 양의직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평양 수복과 군량 조달에 공을 세웠다.

3. 본관

평안남도 남단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가화압(加火押)이라 불렸다. 통일신라 헌덕왕 때 당악현(唐嶽縣)이라 하였다. 고려 초에 서경에 편입시켰다가 1136년(인종 14)에 9촌(村)을 합하여 중화현을 만들고 영(令)을 두어 서경의 속현이 되었다. 1332년(충숙왕 9) 군으로 승격하였으며 공민왕 때 다시 지군사(知郡事)로 승격되었다. 1592년(선조 25) 도호부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중화군이 되었으며, 1896년 평안남도 중화군으로 개편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상원군을 통합하였다.

4. 기원

남송(南宋)의 홍호(洪皓)가 엮은 〈송막기문 松漠紀聞〉에는 발해의 유력한 귀족 성(姓)으로 고(高)·장(張)·양(楊)·두(竇)·오(烏)·이(李) 6성을 언급하였다.

고려사에는 고려 태조 때의 장군 양지(楊志), 광종 때의 문신 양연(楊演), 현종 때의 명장(名將) 양규(楊規)와 그 아들 양대춘(楊帶春), 문종 때의 문신 양신린(楊信麟) 등 많은 양씨가 등장하나, 시조 이전의 계보는 알 수 없다.

5. 인물

중화 양씨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시기이름설명
고려양동무(楊東茂)간의대부, 이부상서를 역임. 1270년(고려 원종 11년) 삼별초의 난 진압.
고려양원격(楊元格)판사(判事)를 역임.
고려양백지(楊百之)서경천호(西京千戶)를 역임.
조선양희지(楊熙止)문신.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
조선양덕록(楊德祿)의병장. 선무원종공신.
근현대양우조(楊宇朝)독립운동가.
근현대양승학(楊昇鶴)대한제지 회장을 역임.
근현대양창영(楊昶榮)제19대 국회의원 (새누리당)을 역임.
근현대양인집(楊仁集)하이트진로 사장, 주일한국기업연합회장을 역임.
근현대양상문(楊相汶)롯데 자이언츠 감독을 역임.


5. 1. 고려


  • '''양동무(楊東茂)''' : 고려 간의대부, 이부상서. 1270년(고려 원종 11년) 삼별초의 난 진압.
  • '''양원격(楊元格)''' : 고려 판사(判事).
  • '''양백지(楊百之)''' : 고려 서경천호(西京千戶).

5. 2. 조선


  • '''양희지(楊熙止, 1439년 ∼ 1504년)''' : 자는 가행(可行), 호는 대봉(大峰). 한때 희지(稀枝)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1462년(세조 8) 생원·진사시에 합격하고, 1474년(성종 5)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여러 관직을 거쳐 1494년 연산군 즉위 후 홍문관 전한을 거쳐 상의원정(尙衣院正)으로서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했고, 1497년 직제학이 되었다. 1498년 대사간으로 있다가 충청도관찰사로 나간 뒤 바로 사직하였다. 1500년에 다시 부총관을 거쳐 대사간이 되었으나, 왕으로부터 임사홍(任士洪)의 당여로 붕당을 만들어 조정을 어지럽히는 자로 지목받아 익산에 부처되었다. 1502년에 죄가 풀려 동지중추부사로 서용되고 겸세자우부빈객(兼世子右副賓客)이 되었다. 이듬해 동지성균관사를 거쳐 한성부우윤에 이르렀다.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며 임사홍, 유자광(柳子光), 노공필(盧公弼) 등과 친하였다. 저서로는 『대봉집』이 있다. 대구 오천서원(梧川書院)에 제향되었다.[3]
  • '''양덕록(楊德祿, 1553년 ~ 1635년)''' : 조선 중기 의병장. 선무원종공신.

5. 3. 근현대


  • 양우조(楊宇朝, 1897년 ~ 1964년) : 독립운동가이다.
  • 양승학(楊昇鶴) : 대한제지 회장을 역임하였다.
  • 양창영(楊昶榮) : 제19대 국회의원 (새누리당)을 역임하였다.
  • 양인집(楊仁集) : 하이트진로 사장, 주일한국기업연합회장을 역임하였다.
  • 양상문(楊相汶) : 롯데 자이언츠 감독을 역임하였다.

6. 과거 급제자

중화 양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5명, 무과 급제자 4명, 사마시 26명을 배출하였다.[4]

6. 1. 고려 문과

양우[4]

6. 2. 조선 문과

문과
양만영
양수사
양원성
양현망
양희지



중화 양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5명, 무과 급제자 4명, 사마시 26명을 배출하였다.[4]

6. 3. 무과

이름
양갑수
양계량
양제해
양진번

[4]

6. 4. 생원시

중화 양씨 생원시 급제자[4]
이름
양경사
양경호
양관희
양덕록
양덕유
양병존
양숙
양의직
양일제
양재창
양재춘
양점형
양춘발
양태형
양현망


6. 5. 진사시

양경연(楊景淵)

양기직(楊基稷)

양덕희(楊德禧)

양두진(楊斗鎭)

양만영(楊萬榮)[4]

양병효(楊秉孝)

양운진(楊雲鎭)

양의시(楊懿時)

양의원(楊懿元)

양점형(楊漸亨)[4]

양희사(楊希泗)

7. 인구

1985년에는 1,154가구 4,723명, 2000년에는 1,682가구 5,468명, 2015년에는 7,287명이 있었다.[1][2][3]

중화 양씨 인구
연도인구 (명)
1985년4,723
2000년5,468
2015년7,287


참조

[1] 역사서 《고려사》 권26 세가 권제26 원종(元宗) 11년 9월 http://db.history.go[...]
[2] 역사서 《고려사》 권104 열전 권제17 http://db.history.go[...]
[3] 백과사전 양희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4] 간행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